칼럼 1 ) 유아 교구와 웩슬러 지능의 상관관계: 놀이 속에서 피어나는 두뇌 발달
핸더리 팀ㆍ2025.05.08ㆍ6분유아 교육 현장에서 ‘교구’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아이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학습 도구이자 경험 매개체입니다. 특히 아동의 인지적 성장 과정을 객관적 지표로 확인해볼 수 있는 웩슬러 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는 유아기부터 초등까지, 그리고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인지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 도구로 사용되죠. 그렇다면 이러한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측정하는 인지 영역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유아 교구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1. 웩슬러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영역
웩슬러 지능검사는 크게 언어이해(Verbal Comprehension), 지각추론(Perceptual Reasoning), 작업기억(Working Memory), 처리속도(Processing Speed)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아 단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WPPSI(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나 초등학생 대상 WISC(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등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춰 세부 과제를 구성합니다.
언어이해(어휘, 일반지식, 이해 등) : 어휘 능력, 개념 이해 능력, 문장의 의미 파악 능력 등을 측정합니다.
지각추론(블록 디자인, 공통그림 찾기, 행렬 추론 등) : 시각적·공간적 이해와 추론, 문제 해결력을 봅니다.
작업기억(숫자 따라말하기, 그림 기억하기 등) : 주어진 정보를 단기적으로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처리속도(부호, 동형 찾기 등) : 제한된 시간 안에 시·공간적 과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능력입니다.
2. 유아 교구가 주는 학습 효과
유아 교구는 아이들이 머리로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지고 조작하면서 놀 수 있도록 설계된 물리적·체험적 도구입니다. 교구는 아이들이 호기심을 자극하고, 시행착오 과정을 거치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끕니다. 이 과정에서 인지력, 집중력, 창의적 사고 등이 발달하고, 이는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측정되는 영역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블록·조작 교구
지각추론과 공간지각 능력을 길러줍니다. 아이가 블록을 쌓고, 끼워 맞추고, 패턴을 만들며 눈과 손의 협응력, 공간 인지 능력을 함께 훈련하죠.
단순 조립을 넘어 ‘어떤 모양을 만들고 싶다’라는 목표를 세우고 만들어 나가며 문제해결력이 향상됩니다.
카드·퍼즐 교구
작업기억 훈련과 처리속도 영역과 관련이 높다. 카드 뒤집기를 통해 위치 기억, 규칙에 맞게 퍼즐 조각을 끼워 넣으며 제한된 정보 안에서 구조를 파악하는 연습을 합니다.
단순 반복이 아니라, 눈으로 식별하고 손으로 조작하는 과정을 짧은 시간 안에 정확히 해내야 하므로 처리속도와 집중력이 요구됩니다.
언어·책 읽기 교구
언어이해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림책, 스토리카드, 낱말카드 등을 이용해 어휘력을 늘리고 문장을 구성하며, 이야기 속에서 개념과 감정을 이해합니다.
유아 교구 중에도 ‘읽고 듣고 말하기’를 함께 유도하는 스토리텔링형 교구가 많은데, 이는 아이의 언어 확장과 사고력 향상에 큰 역할을 합니다.
실험·탐구 교구
간단한 실험도구나 자연관찰 키트는 아이의 호기심과 탐구력을 길러줍니다. 사물과 현상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이 자라며, 이는 지각추론 및 전반적인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가정과 교육기관에서의 실천 방안
적절한 자극과 환경 구성
아이가 스스로 흥미를 느끼는 교구를 선택하도록 하되, 인지 발달 수준과 적절히 맞아떨어지도록 수준별 교구를 준비합니다.
너무 쉬운 교구는 금방 흥미를 잃고, 너무 어려운 교구는 오히려 좌절감을 줄 수 있으므로, 단계별로 선택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 속 발화와 대화 늘리기
교구를 활용할 때, 단순 지시가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질문하고 칭찬을 곁들이면 좋습니다.
“이건 왜 이렇게 만들었어?”, “어떤 모양이 떠올랐니?” 등 개방형 질문을 통해 언어이해와 표현 능력을 자연스럽게 확장시키죠.
폭넓은 놀이 경험 제공
웩슬러 검사에서 고루 높은 점수가 나오게 하려면, 특정 영역만 집중하기보다는 여러 유형의 교구와 놀이 경험을 균형 있게 제공해야 합니다.
한 가지 교구로만 익숙해지기보다, 언어·수·과학·예술 영역이 골고루 반영된 다양한 놀이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과보다 과정에 주목하기
웩슬러 지능검사를 받았을 때 점수 자체에만 매달리기보다는, 아이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학습과 놀이에서 보완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교구 놀이를 할 때도 아이가 지루해하거나 과도한 경쟁 심리를 느끼지 않도록, 과정 속에서 어떤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피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4. 맺음말
웩슬러 지능검사는 아동의 인지적 역량을 파악하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결코 모든 것을 규정짓는 절대적 잣대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아이의 현재 상태를 가늠하고, 필요한 자극과 놀이 환경을 마련해주는 ‘길잡이’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아 교구는 이런 인지 발달을 자연스럽게 촉진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아이가 즐거운 경험을 통해 스스로 배움의 재미를 찾도록 돕는 것이야말로, 교구와 웩슬러 검사 모두가 지향해야 할 진정한 목표가 아닐까요?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