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85 ) 처리속도: 과제를 효율적으로 마치는 속도와 정확성의 균형

핸더리 팀2025.06.232
Article image

처리속도는 주어진 정보를 얼마나 빠르게 인식하고 반응하며, 그 과정을 효율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지를 말한다. 단순히 빨리 문제를 푸는 능력이라기보다, 오류 없이 일정한 리듬으로 과제를 마쳐내는 인지적 정밀성과 일관성을 포함한다. 핸더리 프로그램에서는 시각적 비교, 패턴 완성, 단서 추적 활동 등에서 이 능력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슷해 보이는 여러 도형 중에서 미세한 차이를 찾아 빠르게 짝짓는 과제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제한된 시간 안에 블록을 조립하는 활동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활동은 아이가 처리속도와 관련된 전략을 어떻게 구사하는지를 드러낸다. 즉, 아이가 빨리 하되 정확하게 하는 균형을 유지하려 하는가, 아니면 속도에만 집중하다가 실수를 반복하는가를 관찰하게 된다.


평가 시에는 다음과 같은 관점을 활용할 수 있다.

  • 활동에 대한 이해 후 반응까지 걸리는 시간은 적절한가?

  • 반복되는 유사 과제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하며 수행할 수 있는가?

  • 시간이 촉박하거나 조건이 많아졌을 때, 정확성이 떨어지지 않는가?

  • 실수 후 수정 없이 그냥 지나치거나, 스스로 돌아가 점검하려는 경향이 있는가?

  • 속도와 정확성 사이에서 균형 잡힌 전략을 자율적으로 구성하려는 시도를 보이는가?

핸더리의 활동은 빠르게 처리할수록 유리한 구조보다는, 정확한 판단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이가 얼마나 ‘생각하며 빠르게’ 수행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처리속도에 대한 평가는 아이의 성향과 전략, 주의집중 패턴까지 포함하여 관찰해야 하며, 단순한 정답률보다 과정 중심의 평가 시각이 요구된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