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87 ) 창의적 공간 구성에서 드러나는 시공간 지능과 사고의 깊이

핸더리 팀2025.07.012
Article image

핸더리 수업에서는 단순히 주어진 공간을 재현하거나 복사하는 활동을 넘어서, 아이가 스스로 공간을 구성하고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과정은 시공간 지능 개발뿐 아니라, 아이가 문제 상황을 새롭게 해석하고 다양한 해결법을 떠올리는 문제 해결 능력유연한 사고 방식까지 자연스럽게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루빅스 그리드룩이나 블록 퍼즐 활동에서 아이가 정해진 목표 구조를 완성한 뒤, 스스로 다른 방식으로 같은 결과를 만들어보거나, 아예 새로운 규칙을 제안하며 블록을 배치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이는 사고의 깊이가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순간은 단순히 ‘잘했다’고 칭찬하기보다는, 그 과정과 전략을 물어보며 사고 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는 다음과 같은 점을 평가의 중심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 목표를 달성한 뒤 스스로 대안을 찾아보거나, 새로운 구조를 탐색하려는 시도가 있는가?

  • 공간 구성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블록이 맞지 않거나 공간이 부족한 경우 등)를 인지하고 다른 접근 방식을 고민하는 모습이 보이는가?

  • 구성의 이유를 언어로 설명하며 자신이 어떤 논리나 원리를 적용했는지 말해보려 하는가?

  •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실패-수정의 과정을 반복하면서도 몰입과 흥미를 유지하는가?


핸더리 수업의 진정한 가치는 아이가 창의적 공간 탐색 속에서 스스로 사고의 방향을 조절하고, 새로운 해법을 만들어가는 그 ‘과정’에 있습니다. 이 과정은 곧 교사에게 중요한 평가 지표가 되며, 아이의 시공간 지능이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가 됩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