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89 ) 공간적 탐색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연한 사고와 문제 해결력
핸더리 팀ㆍ2025.07.01ㆍ2분
핸더리 수업에서 시공간 지능은 단순히 사물의 위치를 기억하거나 형태를 모방하는 능력을 넘어, 아이가 공간을 탐색하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사고 과정에서 더욱 또렷하게 드러납니다. 특히 다양한 공간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아이는 예상과 다른 상황에 맞서며 문제 해결력과 유연한 사고 방식을 점차 발전시켜 나가게 됩니다.
공간적 탐색 활동에서는 처음부터 명확한 답을 찾아내는 것보다, 시도와 실패를 반복하며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는 태도가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 어떤 아이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시도했던 방법을 스스로 점검하고, 방향이나 순서를 바꿔보며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순간이 바로 시공간 지능 개발의 과정이자, 아이의 사고가 유연해지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평가 시 교사가 주목할 수 있는 관찰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간적 과제에서 아이가 새로운 시도나 방법을 스스로 고안해보는가?
예상이 빗나가거나 실수했을 때 즉시 포기하지 않고 다른 접근법을 시도하는가?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건 안 되니까 이렇게 해볼래요”와 같이 자신의 전략을 언어화하거나 몸짓, 시선 등으로 표현하려는 모습이 있는가?
동일한 과제를 반복할수록 해결 속도나 전략의 정교함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가?
핸더리 수업은 정답을 찾는 데 급급한 활동이 아니라, 아이가 공간 속에서 자유롭게 사고를 조정하고 자신만의 해법을 탐구하는 과정을 소중히 여깁니다. 교사는 그 과정에서 보이는 작은 변화와 시도를 민감하게 읽어내고, 아이의 성장 과정을 기록하며 의미 있는 평가로 연결시켜야 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