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91 ) 시공간 문제 해결 과정에서 드러나는 집중력과 자기 조절 능력
핸더리 팀ㆍ2025.07.02ㆍ2분
핸더리 수업에서 시공간 지능은 단순한 공간 인식 능력을 넘어, 아이가 문제 해결의 흐름을 스스로 조절하고 유지하는 집중력과 자기 조절 능력과도 깊게 연결됩니다. 시공간 과제를 수행할 때 아이는 단순히 결과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 수행 과정에서 자신의 주의를 조율하고, 실수나 혼란을 스스로 극복해 나가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공간적 구조를 완성하는 활동에서 아이가 중간에 어려움을 느끼더라도 잠시 멈춰 자신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거나, 스스로에게 “여기까지는 맞았어. 그다음엔 어떻게 할까?”라고 속으로 되묻는 모습은 중요한 성장의 징후입니다. 이런 태도는 결과 못지않게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평가 시 교사가 주목할 수 있는 관찰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주의가 분산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몰입을 유지하는가?
활동 중 실수나 실패가 생겼을 때 당황하거나 포기하기보다 스스로 다시 집중하려는 모습을 보이는가?
과제 수행 속에서 자신의 진행 과정을 언어적·비언어적으로 점검하거나 조율하는 태도가 있는가?
문제 해결 흐름을 스스로 정리하며, 단계별로 자신만의 리듬과 방법을 만들어가는가?
핸더리 수업은 시공간 문제 해결 과정에서 아이가 보이는 집중과 자기 조절의 작은 단서를 소중하게 읽어내는 것을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습니다. 교사의 평가 역시 정답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의 사고 흐름을 어떻게 다루고 성장시키고 있는지 그 과정을 지켜보고 기록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