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94 ) 시공간 과제에서 보이는 자기 주도성의 발현과 사고의 조율 능력
핸더리 팀ㆍ2025.07.02ㆍ2분
핸더리 수업에서 시공간 지능을 기르는 다양한 활동은 아이에게 단순한 공간 조작을 넘어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탐색하는 자기 주도성을 길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가 보이는 사고의 조율 능력—즉, 자신의 계획과 전략을 스스로 점검하고 조정해 가는 힘—은 교사가 반드시 주목해야 할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공간적 문제 해결 과제에서 아이는 활동의 초반에는 교사의 안내나 친구들의 시도를 참고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차 스스로 시도-실패-수정의 흐름을 반복하며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일 때, 이는 자기 주도적 사고가 점점 확장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아이가 “이건 내가 생각해본 방법이에요”라며 자발적으로 전략을 언급하거나, 혼자 고민하다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보는 모습은 그 자체로 사고의 조율 능력이 드러나는 장면입니다.
평가 시 교사는 다음과 같은 포인트를 세심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문제 해결 과정에서 교사의 도움을 기다리기보다 스스로 시도하고 전략을 수정하는가?
여러 시도 끝에 스스로 계획을 점검하고, 더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사고를 조율하는 모습이 있는가?
자기 생각을 언어나 그림, 몸짓으로 정리하며 자신의 진행 상황을 표현해 보려 하는가?
어려운 순간에도 자발적으로 집중을 이어가며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는가?
핸더리 수업은 이처럼 아이의 자기 주도적 시도와 사고의 조율 과정을 성장의 지표로 삼고, 평가의 중심에 두고자 합니다. 교사의 역할은 이 과정을 따뜻하게 지켜보고 기록하며,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아이가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