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38 ) <창의력 칼럼 시리즈> 정답이 없는 질문이 사고를 확장한다 – 열린 질문과 사고의 깊이
핸더리 팀ㆍ2025.07.29ㆍ3분
유아기 창의성 발달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어른이 아이에게 질문하는 방식입니다. 아이에게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사고력의 성장 속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정답을 정해놓고 그것을 유도하는 질문이 아닌, 스스로 생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열린 질문이야 말로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우리가 흔히 던지는 "이게 뭐야?" , "몇 개야?" , "이 문제를 맞았니? 틀렸니?" 와 같은 폐쇄형 질문은 정확한 답을 찾아내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생각의 방향이 오로지 하나로만 정해지게 됩니다.
반면에, "왜 그렇게 생각했어?" "다르게 생각해 보면 어떻게 될까?" "이걸로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 와 같은 개방적인 질문은 아이로 하여금 자신의 논리를 구성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합니다.
개방형 질문은 단지 자유롭게 말하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 질문 안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담겨 있습니다.
∙ 발산적 사고: 하나의 문제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떠올릴 수 있는 힘
∙ 유연성: 다양한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조합해보는 사고 태도
∙ 정교함: 자신의 생각을 점차 구체화하고 이유를 붙이며 발전시키는 능력
∙ 독창성: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시도해보는 능력
이러한 사고 능력은 단순히 교구나 활동 자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활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교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선생님이 해당 교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 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블록을 높이 쌓았을 때 “잘했어!” 라고 칭찬하는 것보다, “이렇게 쌓은 이유가 있을까?”, “더 높이 쌓으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 라고 물어보는 것이 아이의 사고를 훨씬 깊게 자극합니다. 정답을 확인하는 것 대신에, 자기 생각을 설명하고, 또 다른 방향을 고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개방형 질문의 진짜 가치입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