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39 ) <창의력 칼럼 시리즈> 표현하고 조합하는 힘 – 창의 교구의 설계 원리와 실제 구조
핸더리 팀ㆍ2025.07.30ㆍ4분
창의력은 단지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기발한 아이디어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아이가 생각한 것을 표현해보고, 구성하고, 새롭게 조합해보는 능력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아이가 마음껏 표현하고 구성할 수 있는 도구와 환경, 즉 교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유아기에는 추상적 사고보다 구체적인 조작을 통해 사고를 형성해나가는 단계이기 때문에, 손으로 만지고 (hand), 귀로 듣고 (ear) , 눈으로 보며 (eye) 직접 구성할 수 있는 창의 교구들은 아이의 표현 능력을 실제로 확장시키는 매개가 됩니다.
창의 교구는 다음과 같은 핵심 원리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1. 열린 구조(open-ended structure)
정해진 정답이 없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구는 아이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적용해보고, 실패와 재시도를 통해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블록이라도 모양, 크기, 색상이 다양하고 다루는 방식이 자유롭다면 아이는 블록을 이용해 집을 만들 수도 있고, 동물이나 다른 것들을 만들 수도 있으며, 자기만의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2. 조합과 변형이 가능한 요소
창의력은 주어진 것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다르게 조합하고 연결해보고 그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향상됩니다.
따라서 교구는 정해진 규칙만 따르게 하는 것인 아니라 아이가 형태, 순서, 방향 등을 자유롭게 변형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 붙이기 블록, 자석 조각, 다기능 조립 키트 등은 조합의 가능성을 넓히는 데 효과적입니다.
3. 표현 중심의 활동 유도
아이의 언어, 감정, 이야기 구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조립과 반복을 넘어서서 자신이 만든 것에 대해서 설명하거나, 상황을 설정하고 이야기를 만들어보는 활동이 함께 동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 스티커와 배경판을 함께 사용하는 이야기 만들기 키트는 아이가 표현 중심으로 놀이를 확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핸더리 수업은 창의 교구를 '결과를 만드는 도구' 가 아니라 사고의 경로를 다양화하는 환경으로 봅니다.
아이가 선생님이 알려준 대로 정해진 바대로 따라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 "다른 방법도 있을까?" , "이야기를 붙여보면 어떠할까?" 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생겨날 수 있도록 교구를 사용하는 것이 창의력 발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를 표현하고 조합해보는 경험은 아이에게 단순한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것은 자신의 창의적인 생각을 드러내보고, 또 다른 방식의 생각을 해보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