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 ) 유아기의 언어인지 능력, 어떻게 키울까?

핸더리 팀2025.05.085

Article image

“엄마, 이건 뭐야?”

유아의 끝없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사고와 언어가 함께 자라나는 신호입니다. 특히 유아기의 언어 인지 능력은 단어를 단순히 아는 것을 넘어, 사물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복합적인 능력입니다. 이 시기의 언어는 단순한 말의 연속이 아니라, 세상을 해석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로 기능합니다. 따라서 언어 인지는 영재성의 씨앗이 자라는 가장 기본적인 토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언어 인지 발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언어 이해’, 즉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 표현’, 즉 말로 표현하는 능력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말을 얼마나 잘하느냐에만 집중하지만, 사실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하고, 그에 기반해 표현력이 따라오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가 말을 조금 늦게 시작하더라도, 일상 속에서 엄마 아빠의 말을 이해하고 적절히 반응하고 있다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Article image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언어 인지 능력을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을까요?

첫째, 일상 속 대화가 가장 중요합니다.
단순히 지시하는 말보다 질문과 설명이 많은 환경이 아이에게 더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이거 가져와”라고 말하기보다는 “엄마가 쓰고 있는 볼펜을 가져다줄래요? 볼펜은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예요”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언어 자극은 아이의 어휘력과 사고의 폭을 함께 넓혀줍니다.


둘째, 책 읽기는 필수입니다.
단순히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을 넘어서, 아이와 함께 책 속 이야기를 상호 작용하며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 속 인물의 감정을 함께 이야기하고, 다음 장면을 예측하거나 비슷한 경험을 떠올려보도록 유도하면 사고력과 언어 능력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습니다.


셋째, 상징 놀이는 언어 인지를 기르는 데 매우 효과적인 활동입니다.
인형에게 밥을 먹이는 놀이, 블록으로 집을 짓는 놀이는 아이가 ‘무엇을 무엇처럼’ 사용하는 추상적 사고를 경험하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놀이를 통해 아이는 다양한 단어를 사용할 기회를 갖게 되며,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도 함께 자라납니다.


넷째, 교구의 활용도 인지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언어 인지를 자극하는 유아용 교구는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는 아이가 다양한 말을 끌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장면이 그려진 그림 카드나 상황 스토리 카드, 다양한 모양의 사물을 조작할 수 있는 카드 등을 활용하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묘사하고, 비교하고, 질문하고, 설명하면서 언어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Article image

유아기의 언어 인지 능력은 단순히 조기 언어 교육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이 능력은 인지적 유연성, 문제 해결력, 사회성까지 아우르는 기반 능력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언어 경험은 단기적인 어휘력 향상에 그치지 않고 훨씬 더 넓은 영향을 남깁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이 가르쳤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함께 말하고 나누었는가’입니다.


결론

유아기의 언어 인지 능력은 단순한 말하기 능력에 그치지 않고,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사고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풍부한 언어 환경과 상호작용 중심의 독서, 상징놀이,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교구 활동을 통해 아이는 자연스럽게 언어를 익히고 사고의 폭을 넓혀 나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가르치는 것보다 함께 말하고 나누는 경험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의 깊이 있는 사고력과 표현력의 뿌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Tip | 집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언어 인지 놀이 3가지

1. 말 따라 스토리 만들기

“어느 날 숲 속에 곰이 살고 있었어요…” 라고 시작하면 아이가 그다음 이야기를 이어 말하게 해보세요. 상상력과 언어 표현력이 함께 자랍니다.


2. 그림 묘사 게임

아이에게 그림 하나를 보여주고 그걸 설명하게 해보세요. 부모는 그 설명만 듣고 그림을 맞추는 게임입니다. 말의 정확성과 논리성이 중요해집니다.


3. 역할 바꾸기 놀이

아이는 엄마 역할, 부모는 아이 역할을 하며 일상 속 대화를 바꿔봅니다.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과 표현력이 자연스럽게 길러집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