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51 ) 처리속도의 발달 원리와 인지 과학적 배경
핸더리 팀ㆍ2025.08.12ㆍ2분
유아기의 처리 속도는 단순히 빨리 처리해내는 능력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는 감각을 통해 받은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반응을 생성하는 전반적인 인지 과정의 속도를 말합니다. 인지 과학에서는 이러한 처리 속도를 '정보 처리 효율성' 이라고도 부르며, 주의 집중, 기억, 문제 해결과 같은 상위 인지 기능과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설명합니다.
처리 속도의 발달은 생물학적 성숙과 경험적 자극이 함께 작용하여 이루어집니다. 뇌의 신경 세포가 발달하게 되면서, 정보 전달 경로가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여기에 다양한 놀이, 교구,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반복 경험이 더해지면, 정보 처리의 자동화와 속도 향상이 촉진됩니다.
특히 유아기에는 시각, 청각 자극에 대한 신속한 반응이 중요한데, 이는 학습의 기초를 마련해 줍니다. 예를 들어, 눈으로 본 도형을 곧바로 인식하고 같은 모양을 찾아내는 활동이나, 특정 소리를 듣고 즉시 반응하는 게임은 처리 속도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결국 유아기의 처리 속도 발달은 속도와 정확성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빠른 반응만을 추구하면 실수가 잦아질 수 있고, 정확성만을 강조하면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교구와 놀이를 활용할 때는 이 두 요소가 균형 있게 향상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