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 ) "왜?" 라고 묻는 아이, 유동추론 능력을 키우는 신호입니다.
핸더리 팀ㆍ2025.05.08ㆍ5분
“왜 하늘은 파래?”
“왜 엄마는 커피를 마셔?”
“왜 밤이 되면 자야 해?”
유아기에 나타나는 “왜?”라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아이의 두뇌가 본격적으로 사고를 확장하기 시작했다는 신호입니다. 특히 이 시기의 질문은 유동 추론(fluid reasoning)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유동 추론이란 새로운 정보를 마주했을 때, 기존의 지식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논리적 사고와 유연한 문제 해결력을 통해 접근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사고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힘입니다.
그렇다면 유아에게 유동 추론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예를 들어, 새로운 장난감의 사용법을 알려주지 않았음에도 아이가 스스로 만져보고 조작하면서 그 기능을 이해하려 하거나, 직접 보지 않은 상황을 상상하며 질문을 던질 때, 유동 추론 능력은 자연스럽게 발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능력은 단순한 지식 암기와는 다른 차원의 ‘생각하는 힘’으로, 이후의 학습과 문제 해결 능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유동 추론 능력은 훈련이 가능합니다. 특히 놀이와 교구를 활용한 활동은 아이의 두뇌를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패턴을 추론하거나 도형 사이의 규칙을 발견하게 하는 활동, 그림 속에 숨겨진 문제를 추론해보는 활동 등은 아이가 주어진 정보에서 ‘보이지 않는 규칙’을 찾아보는 연습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열린 질문을 던지는 대화 방식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 블록을 이렇게 쌓으면 어떻게 될까?”, “이 인형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와 같은 질문은 아이의 머릿속에 다양한 가능성을 그려보게 합니다. 이때 정답을 요구하기보다는 아이의 상상력과 추론을 격려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말한 추론이 다소 엉뚱하게 들리더라도 “그렇게 생각했구나. 또 어떤 방법이 있을까?”라고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유동 추론은 ‘정해지지 않은 문제’를 접했을 때 더욱 빛을 발합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길이의 빨대를 가지고 집을 만들어보는 활동이나, 이야기 속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놀이는 정답이 없는 상황에서 아이가 자신만의 해결책을 만들어보도록 유도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아이는 실패에 좌절하기보다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태도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결국 유동 추론 능력은 단순히 ‘머리가 좋은 아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사고하며 새로운 해결책을 떠올릴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입니다. “왜?”라고 묻는 아이는 이미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그 질문을 귀찮아하기보다는 함께 고민하고 대화를 나누는 태도가 아이의 사고를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됩니다.

결론
유동 추론은 새로운 상황에서 유연하게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힘입니다. 아이의 “왜?”라는 질문은 그 시작이며, 다양한 시도와 열린 질문, 그리고 실패를 허용하는 환경 속에서 자라납니다.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 사고의 흐름을 함께 만들어가는 경험이 유동 추론을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Tip | 유동추론을 자극하는 일상 속 활동 3가지
1. 다른 용도 상상하기 놀이
숟가락을 보고 “이걸로 뭐 할 수 있을까?”라고 질문해보세요. 우주선, 전화기, 마이크 등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어요. 사고의 유연성을 기릅니다.
2. 패턴 추리 카드 게임
규칙을 스스로 찾아야 하는 패턴 카드를 활용해 보세요. 도형, 색깔, 숫자의 변화 속에서 아이는 추론의 논리를 세웁니다.
3. 문제 상황 해결 그림책
주인공이 위기에 빠지는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이 다음엔 어떻게 될까?”, “너라면 어떻게 했을까?”라고 묻는 대화는 사고 확장을 유도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