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76 ) 관계와 함수의 싹 — 입력–규칙–출력 놀이(확장판)
핸더리 팀ㆍ2025.09.12ㆍ8분덧셈·뺄셈 기호를 배우기 전에 아이가 먼저 익혀야 할 것은 “무엇을 넣으면(입력), 어떤 규칙이 적용되어, 무엇이 나온다(출력)”는 생각의 흐름입니다. 이 입력–규칙–출력 구조는 훗날의 함수적 사고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이야기 문제 이해·패턴 예측·측정 환산 등 다양한 상황의 공통 바탕이 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가정·기관에서 바로 쓰실 수 있도록 20분 루틴, 교구·난이도 설계, 현장 스크립트, 관찰 루브릭을 상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핵심 개념 한눈에
입력(Input): 시작값·시작조건(수, 색, 도형, 길이 등).
규칙(Rule): 바뀌는 방법(예: “+1”, “×2”, “빨강이면 +2, 파랑이면 +1”).
출력(Output): 규칙을 적용한 결과.
역규칙(Inverse): 거꾸로 되돌리는 방법(“+2의 역규칙은 −2”).
구성(Composition): 규칙을 연달아 적용(“먼저 ×2, 그다음 +1”).
언어 프레임: “규칙은 ___ 입니다.” / “입력 ___이면, 출력 ___입니다.” / “왜냐하면 ___ 규칙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준비물(간편·대체 가능)
규칙 카드(예: +1, −1, +2, ×2, 색→가산점, 도형→변환), 화살표 매트(입력→규칙→출력 칸), 숫자칩/색칩, 수직선/숫자줄.
입·출력 표(2×4 칸), 가림 카드(결손값 숨기기), 타이머.
대체: 주사위(입력), 스티커(색 규칙), 포스트잇(규칙 메모).
20분 루틴(현장 스크립트 포함)
① 웜업 2분 — 규칙 감각 깨우기
교사: “이 상자의 규칙은 +1이에요. 입력 3을 넣으면 출력은 무엇일까요?”
아동: “4요!”
교사 모델링: “입력 3 → +1 → 출력 4.”
② 입력 5분 — 규칙 한 가지로 성공 누적
화살표 매트에 입력칸 2개(예: 2, 5)와 규칙 카드(+1)를 올리시고 하나씩 통과시킵니다.
스크립트: “먼저 입력을 읽고, 그다음 규칙을 적용한 뒤, 그래서 출력을 말합니다.”
변형: 수직선에서 한 칸 점프(+1)를 몸짓으로 보여 주기.
③ 상호작용 9분 — 미션 3종(수준에 맞게 2개 선택)
미션 A | 규칙 찾기(함수 표 디텍티브)
표 예시(출력만 일부 보이게):
입력: 1, 3, 4 → 출력: 3, 5, 6
질문: “규칙은 무엇일까요?”
아동: “+2예요.”
확장: 색 규칙 섞기—빨강 칩=+2, 파랑 칩=+1(입력 3·파랑 → 출력 4).
미션 B | 구성(두 규칙 이어 달리기)
규칙 카드 두 장: ×2 → +1.
스크립트: “먼저 ×2, 그다음 +1이에요. 입력 3이면?”
아동: “3→6→7, 그래서 7이에요.”
변형: 순서를 바꾸어(“+1 후 ×2”) 결과가 달라짐을 체험.
미션 C | 역규칙(되돌리기 게임)
출력만 주고 “어떤 입력이었을까요?”
예: 규칙 +2, 출력 9 → 입력은? (9→7)
스크립트: “역규칙은 −2예요. 그래서 입력은 7이에요.”
확장: 가림 카드로 표의 결손값 채우기.
④ 정리 4분 — 한 문장 리텔링
아동: “먼저 규칙을 찾고, 그다음 입력에 적용했어요. 그래서 출력이 7이에요.”
오늘의 문장틀: “규칙은 ___, 입력 ___ → 출력 ___.”
난이도 설계(수행 수준 기준)
초급(만 3–4세)
규칙: +1/−1 한 가지, 입력 범위 0~5.
목표: 화살표 매트로 단일 규칙 일관 적용.
언어: “한 칸 앞으로/한 칸 뒤로.”
중급(만 4–5세)
규칙: +2/−2, ×2 또는 색 규칙(빨강=+2, 파랑=+1).
목표: 규칙 찾기(입·출력 표에서 규칙을 추론), 두 칸 예측.
언어: “두 칸 점프”, “빨강이라서 +2.”
고급(만 5–7세)
규칙: 구성(×2 후 +1), 역규칙(−1 후 ÷2), 결손값 채우기.
목표: 규칙 문장화 + 근거 설명, 순서 바뀌면 결과 달라짐 이해.
언어: “먼저 ×2, 그다음 +1이라서 7이에요. 순서를 바꾸면 8이에요.”
원칙: 한 세션에 규칙 1개만 본격 운영 → 성공 누적 뒤 구성/역규칙으로 확장하십시오.
수준별 스캐폴딩(존댓말 스크립트)
말이 적은 아동
양자택일: “+1일까요, +2일까요?” → 성인 모델링 후 5초 기다림
모델링: “규칙은 +1이에요. 입력 2면 출력 3이에요.”
평균 아동
근거 요구: “왜 +2라고 생각하셨나요? 어떤 쌍을 보고 알게 되셨나요?”
표와 수직선을 함께 사용해 시각–언어 연결.
상위 아동
구성·역규칙 도전: “먼저 ×2, 그다음 +1 규칙의 역규칙은 어떻게 될까요?”
답: “먼저 −1, 그다음 ÷2.”
활동 아이디어(바로 적용)
규칙 머신(상자) 놀이
상자에 규칙 카드를 끼우고, 입력 칩을 넣으면 출력 칩이 나오는 연극.
아이가 교대로 규칙을 운영자에게 속삭여 보안 유지→다른 아이가 규칙 추론.
색–수 혼합 규칙
“빨강=+2, 파랑=+1”을 수직선 점프로 구현.
입·출력 표에 색과 수를 함께 기록.
규칙 바톤 릴레이
1번 아이: +1 적용 → 2번 아이: ×2 적용 → 3번 아이: −1 적용.
마지막 수를 말하며 “먼저/그다음/마지막” 리텔링.
역규칙 낚시
물고기 카드에 출력만 적기. 낚은 뒤 규칙을 보고 입력을 말하면 성공.
흔한 어려움 & 해결
규칙보다 ‘정답 숫자’만 말함 → “규칙 문장부터 말씀해 주시겠어요? ‘규칙은 +2’처럼요.”
규칙을 섞어 적용 → 화살표 매트에 규칙 카드 1장만 올리고, 다른 카드는 뒤집어 둡니다.
구성과 역규칙 혼동 → 손가락으로 두 단계 화살표를 순서대로 짚으며 말하기.
색 규칙에서 색만 보고 수를 잊음 → 표를 두 줄로 분리(위=색, 아래=수)해 각각 읽고 결합.
가정/기관 적용 예시
가정
간식 규칙: “작은 과자=+1, 큰 과자=+2.” 접시에 넣으며 입력–규칙–출력 말하기.
계단 오르기: “두 칸 점프(+2)” 규칙로 층계 수 예측.
기관
출석 규칙: 오늘 온 친구 수에 +1을 적용해 “예상 간식 바구니 수” 정하기.
스테이션: (A) 규칙 찾기 표, (B) 규칙 머신, (C) 구성·역규칙 릴레이.
관찰 루브릭(세션 직후 1분, 0–3점)
규칙 인식: 0 무 / 1 힌트 필요 / 2 스스로 찾음 / 3 근거(입·출력 쌍)로 설명
규칙 적용 정확도: 0 불가 / 1 간헐 / 2 대체로 정확 / 3 연속 적용(두 칸 예측 포함)
구성 처리: 0 무 / 1 한 단계 / 2 두 단계 순서 언어화 / 3 순서 바뀜 결과 비교 설명
역규칙: 0 무 / 1 도움 필요 / 2 스스로 되돌림 / 3 복합 역규칙(−1 후 ÷2 등) 언어화
리텔링(절차·인과): 0 단어 / 1 단편 / 2 “먼저/그다음” / 3 “그래서/왜냐하면” 포함 문장
해석 팁: 2주 내 규칙 인식과 규칙 적용이 각각 한 단계씩 오르면, 구성·역규칙으로 확장하셔도 안전합니다.
결론
입력–규칙–출력 놀이를 통해 아이는 “어떻게 바뀌는가”를 말로 붙들 수 있습니다. 한 세션에 규칙 한 가지를 또렷하게 다루고, 화살표 매트·수직선·표를 연동하며 “규칙 문장 → 적용 → 리텔링” 흐름을 꾸준히 반복해 보십시오. 곧 아이는 “규칙은 ×2, 그다음 +1이에요. 입력 3이면 출력 7이에요.”처럼 근거 있는 함수적 문장을 스스로 말하게 됩니다. 다음 7편에서는 이 사고를 측정의 논리(길이·무게·부피)로 확장하여, 단위·반복·비교의 개념을 생활 속에서 단단히 세우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