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80 ) 평가가 아닌 성장 기록 — 루브릭·포트폴리오로 ‘보이는 수학’을 만드시는 법(확장판)
핸더리 팀ㆍ2025.09.12ㆍ6분논리·수리력은 시험 점수보다 과정과 언어의 변화로 자랍니다. 아이가 “먼저 5를 채우고, 그다음 2를 더해서, 그래서 7이에요.”라고 말하는 순간이 바로 성장의 증거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수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1분 안에 끝나는 루브릭 기록법, 그 기록을 주간·월간 포트폴리오로 엮는 방법, 가정–기관을 잇는 소통 템플릿과 피드백 대화 스크립트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원칙 — “짧게·같은 기준·다음 수업으로”
짧게: 세션 직후 1분 루브릭 5항목만 체크합니다.
같은 기준: 모든 편에서 반복해 온 0–3점 기준을 그대로 씁니다(비교가 아닌 방향 표지).
다음 수업으로: 점수는 평가가 아니라 다음 활동의 스위치입니다(난이도·교구·질문 수정).
2) 1분 루브릭(논리·수리력 통합 5항목, 0–3점)
전략 언어(5·10 앵커, “먼저–그다음–그래서”)
0 무 / 1 단편 / 2 절차 문장 / 3 인과·근거까지
구조 인식(패턴·서브라이징·부분–부분–전체)
0 무 / 1 힌트 필요 / 2 스스로 적용 / 3 다른 과제에 전이
규칙 적용(입력–규칙–출력, 수직선 점프)
0 불가 / 1 간헐 / 2 대체로 정확 / 3 구성·역규칙 설명
측정·환산 언어(단위 반복, “작은 컵 2 = 큰 컵 1”)
0 무 / 1 단편 / 2 문장화 / 3 두 체계 연결(㎝·㎖ 라벨)
리텔링·정서(자기 설명 + 몰입)
0 회피 / 1 단어 / 2 절차 리텔링 / 3 인과·근거 + 재집중
기록 팁: 옆에 한 문장 증거를 붙여 주세요(아동 원문 인용).
예: “오늘 말: ‘5에 2 더해서 7’(규칙·전략 2점).”
3) 20분 안 끊기는 기록 루틴
① 시작 2분(목표 고지)
“오늘 목표는 패턴 두 칸 예측과 ‘그래서’ 문장이에요.”
② 활동 12–14분(스냅샷 1장)
휴대폰으로 사진 1장(작품·보드) + 캡션 한 문장(아동 말 그대로).
③ 마무리 4분(루브릭 1분 + 리텔링 3분)
루브릭 5칸을 0–3에 동그라미 → 아이가 한 문장 리텔링:
“먼저 5를 채우고, 그다음 2를 더해, 그래서 7이에요.”
4) 주간 리포트(가정–기관 공유용, 4줄 템플릿)
이번 주 목표: 패턴 두 칸 예측, 5·10 앵커 언어
아동 원문: “5에 2 더해서 7이에요.”
루브릭 변화(→): 전략 1→2 / 구조 1→2 / 규칙 1→2 / 측정 1→1 / 리텔링 1→2
다음 주 스위치: 교대·이중 패턴으로 확장(색=AB, 개수=+1)
전달 방식: 사진 1장 + 위 4줄이면 충분하고 설득력 있습니다.
5) 월간 포트폴리오 구성(4면)
표지: 아이 이름·월·핵심 문장(아동 원문 한 줄).
성장 타임라인(주 1장씩 4장): 사진·루브릭 미니 차트(0–3)·한 줄 캡션.
하이라이트 에비던스 3개:
(예) 텐 프레임 5앵커, 교대 패턴 완성, 입력–규칙–출력 표.
각각에 근거 문장 부착: “왜냐하면 5묶음+2로 설명했기 때문이에요.”
다음 달 학습 처방(SMART):
S: 이중 패턴(색=AB, 개수=+1) 두 칸 예측
M: 루브릭 ②구조 인식 2→3
A: 패턴 카드 3종, 리듬–색 매핑
R: 7월 목표(규칙 언어 강화)와 연결
T: 4주 내 주 2회, 세션 말 리텔링 확인
6) 증거 유형(시간 안 드는 5가지)
결과 사진 1장(+ 화살표 스티커로 전략 표시)
보이스 메모 10초(리텔링 원문)
작은 포스트잇(오늘의 문장틀 완성본)
체크카드(루브릭 0–3 동그라미)
교구 배치 사진(단위·규칙이 보이도록 구성)
좋은 증거의 기준: “전략이 보이는가? 말이 들리는가?”
7) 피드백 대화 스크립트(RBI 3단계)
반영(Reflect): “지금 먼저 5를 채웠네요.”
다리(Bridge): “그래서 2만 더 보면 빨라졌어요.”
초대(Invite): “그다음에는 두 칸 예측에 도전해 보실래요?”
금지어 → 대체어
“틀렸어” → “그 시도도 단서였어요. 다른 규칙은 무엇일까요?”
“빨리 해” → “천천히 규칙을 말로 먼저 정해 볼까요?”
8) 난이도·교구·질문 ‘스위치 표’(루브릭 기반 처방)
낮게 나온 항목다음 시간 스위치(한 가지만)예시 스크립트전략 언어 0–1문장틀 보조(카드 앞에 세움)“먼저–그다음–그래서로 말해 보실래요?”구조 인식 0–1텐 프레임/부분–부분–전체 강제 도입“먼저 5를 채운 뒤 남은 것을 볼까요?”규칙 적용 0–1+1 한 규칙만 고정“한 칸 점프만 해요.”측정 0–1한 단위만 사용(손뼘/작은 컵)“같은 단위로 반복해 재요.”리텔링 0–15초 기다림 + 모델링“제가 먼저 말해 볼게요… 이제 따라 말해 보실래요?”
9) 가정–기관 연결(같은 말·같은 틀)
공통 문장틀 1개만 공유: “(먼저) ___ (그다음) ___ (그래서) ___.”
가정용 미니 카드(주 3단어): 앵커·규칙·대칭 등.
주간 사진 1장 + 4줄 리포트로 충분합니다.
10) 윤리·안전(필수 체크)
최소 수집: 이름·월·사진 1장·문장 1줄이면 충분합니다.
긍정 중심: “부족” 언어 대신 “다음 스위치”로 표기합니다.
비교 금지: 또래 비교 X, 자기 전월 대비만 표시합니다.
결론
좋은 평가는 짧고, 같고, 다음으로 이어집니다. 세션마다 1분 루브릭 5항목과 한 문장 증거를 남기시고, 그것을 주간 4줄 리포트와 월간 포트폴리오 4면으로 엮어 보십시오. 그러면 아이의 수학은 점수가 아닌 언어와 전략의 변화로 또렷해집니다.
핸더리와 함께라면, 아이는 곧 이렇게 말하실 것입니다.
“먼저 5를 보고, 그다음 2를 더해서, 그래서 7이에요. 왜냐하면 5와 2로 합쳤기 때문이에요.”
필요하시다면, 본 포트폴리오 양식을 기관 로고·학급명이 들어간 출력용 폼으로도 맞춤 제작해 드리겠습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