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85 ) 추론을 검증하는 놀이 — 가설을 실험으로 확인하는 힘
핸더리 팀ㆍ2025.09.18ㆍ3분유동추론은 단순히 “생각하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아이가 세운 추론이나 가설을 실제 활동을 통해 검증하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고력은 비약적으로 성장합니다. 유아 교구재를 활용한 검증 놀이는 아이가 실험적 태도를 기르고, 틀림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논리적 사고를 끝까지 완성하도록 돕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검증 중심 놀이 방법과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1. 검증의 필요성
아이가 “블록을 한 개 더 얹으면 탑이 무너질 거야”라는 가설을 세웠다면, 실제로 해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만약 무너지지 않는다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며 추론의 유연성을 기릅니다. 이러한 경험이 누적될수록 아이는 실패를 부정적으로 여기지 않고, “다른 방법도 있구나”라는 탐구적 태도를 키우게 됩니다.
2. 교구재를 활용한 검증 놀이 예시
탑 쌓기 실험: 아이가 예측한 탑의 한계 높이를 실제로 쌓아 확인합니다.
패턴 변형 확인: “빨강–노랑–파랑–빨강–노랑… 그다음은 파랑일 거야!”라고 말하면 실제 블록을 배열해 맞는지 검증합니다.
균형 놀이: 저울에 물체를 올리기 전 무게를 추측하고, 실제로 비교해 보는 활동을 통해 아이는 수량적 예측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숨은 그림 찾기: 아이가 예상한 위치를 실제로 확인하며 추론을 강화합니다.
3. 질문을 통한 사고 확장
검증 단계에서는 질문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과가 네 생각과 같았나요, 달랐나요?”
“다르다면 어떤 점에서 달랐나요?”
“만약 다른 방법으로 했더라면 어떻게 됐을까요?”
이러한 질문은 아이가 결과를 단순히 맞다/틀리다로 끝내지 않고, 생각을 되돌아보는 메타인지적 사고로 이어가도록 합니다.
결론
추론을 검증하는 놀이는 아이가 가설을 세우고 →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는 사고의 전 과정을 경험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아이가 논리적·탐구적 학습 태도를 체득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교구재는 아이의 호기심을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는 도구가 되며,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유연한 사고의 주인공으로 성장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