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9 ) 호기심은 지능보다 먼저 키워야 할 힘입니다.
핸더리 팀ㆍ2025.05.08ㆍ3분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 힘이 ‘높은 지능’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믿습니다:
“아이를 멀리 데려가는 힘은 IQ가 아니라 호기심입니다.”
호기심이 왜 중요한가요?
호기심은 아이가 스스로 세상과 연결되려는 내적 동기입니다.
“이건 왜 그래?”, “어떻게 되는 걸까?”, “내가 해볼 수 있을까?”와 같은 질문은,
아이의 탐구 본능, 추론 능력, 창의적 사고의 출발점이 됩니다.
지능이 주어진 문제를 잘 푸는 능력이라면,
호기심은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는 능력입니다.
문제를 찾는 아이는 단순한 수용자가 아닌, 학습의 주체로 성장합니다.
핸더리 프로그램은 호기심을 움직입니다
핸더리 교육법(HAND + EAR + EYE)은 호기심이 살아나는 방식으로 활동을 설계합니다.
정답을 먼저 제시하지 않고,
아이 스스로 만져보고(HAND), 소리를 듣고(EAR), 관찰하며(EYE) “왜 그런지”를 고민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교구를 조작하다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면, 아이는 “어? 왜 그렇지?”라는 질문을 자연스럽게 던지게 됩니다.
이 질문이 바로 사고의 시작점이며, 진짜 배움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됩니다.

핸더리는 호기심을 억누르지 않고,
질문이 꼬리를 무는 수업 구조를 통해 아이가 끊임없이 생각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부모님의 태도가 호기심의 온도를 결정합니다
아이의 호기심은 아주 작은 반응 하나로 자라거나 꺾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질문했을 때 “그건 나중에”, “그건 몰라도 돼”라고 말하기보다,
“우리 같이 찾아볼까?”, “넌 어떻게 생각해?”라고 되물어 주세요.
“그건 정답이 아니야”보다는,
“그렇게 생각한 이유가 궁금해”라고 접근해 주세요.
아이의 생각은 정답보다 훨씬 멋진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Tip | 아이의 호기심을 살리는 실천 전략
관찰 일기 쓰기: 매일 한 가지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고, 궁금한 점을 한 줄씩 써보게 해주세요.
질문 책 만들기: 아이가 궁금해하는 내용을 적어 모아두고, 주말마다 함께 탐구해보세요.
“왜?”를 환영하는 분위기: 질문이 많다고 피곤해하지 마시고, 질문하는 태도 자체를 칭찬해주세요.
결론
지능은 문제를 푸는 기술이지만,
호기심은 문제를 만들고 세상을 바꾸는 동력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아이들이 더 많이 궁금해하고,
더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평생 학습자로 자라나기를 응원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