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29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핸더리의 교구 설계 철학
핸더리 팀ㆍ2025.05.09ㆍ4분
아이의 지능을 평가할 때, 우리는 종종 언어 능력과 수리 능력 중심으로 아이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버드대학교 교육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지능은 단일하지 않다.” 라고 주장하며, 인간에게는 서로 다른 형태의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이 존재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이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아이의 지적 역량을 넓게, 깊게, 다양하게 자극하는 교구 활동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다중지능이론이란 무엇인가요?
가드너는 전통적인 IQ 중심의 지능 개념에 반대하며,
인간은 최소 8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지능 영역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능을 제시했습니다:
-언어지능 – 말하고 쓰고 듣는 능력
-논리수리지능 – 수, 논리, 문제해결 능력
-시공간지능 – 공간 감각, 도형 인식, 방향 감지 능력
-신체운동지능 – 몸과 손을 조절하고 표현하는 능력
-음악지능 – 리듬, 소리, 음높이 감지 능력
-대인관계지능 –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능력
-개인내성지능 – 자기 감정과 동기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
-자연탐구지능 – 자연, 생명체, 환경에 대한 관심과 관찰력
이 이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들은 서로 다른 지능 프로파일을 지니며,
각각의 지능은 교육을 통해 발달할 수 있다.”

핸더리는 다중지능이론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을까요?
핸더리(HAND + EAR + EYE) 교육법은
단일 지능이 아닌 다중감각-다중지능 통합 설계를 통해
아이의 다양한 두뇌 영역과 성향을 고르게 자극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교구 활동에서도 다음과 같은 지능이 복합적으로 자극됩니다:
-언어지능: 활동 전 규칙 듣기, 활동 후 느낀 점 말하기
-논리수리지능: 규칙 유추, 문제 해결하기
-시공간지능: 블록 배치, 패턴 구성
-신체운동지능: 손으로 조작하기, 조립하고 재구성하기
-음악지능: 리듬에 맞춘 놀이 구성(일부 활동에 적용)
-대인관계지능: 친구와 협동하기, 역할 나누기
-개인내성지능: 스스로 전략 조정하기, 실패를 돌아보기
즉, 핸더리 활동 하나가 여러 지능을 동시에 자극하는 설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에게 강한 지능을 발견하고,
덜 발달한 영역도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됩니다.
왜 다중지능 기반 교육이 중요한가요?
모든 아이는 다릅니다: 어떤 아이는 말보다 손이 빠르고, 어떤 아이는 조용히 관찰하며 탁월한 인지를 보입니다.
표준화된 평가만으로는 아이의 진짜 역량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다중지능 교육은 아이의 가능성을 넓히고, 자존감을 보호합니다.
내가 잘하는 것이 있다는 경험은 아이의 자기효능감을 키우고,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를 만들어줍니다.
Tip | 가정에서 실천하는 다중지능 중심 활동
관심을 발견하는 질문 던지기
“요즘 어떤 게 재미있어?”, “혼자 놀 땐 뭘 제일 자주 해?”
→ 아이가 스스로 좋아하는 지능 영역을 인식하게 됩니다.
활동을 다양하게 섞어보기
독서 → 만들기 → 이야기하기 → 친구와 역할놀이 → 자연 관찰
→ 하루 활동 루틴을 지능 다양성에 맞게 구성해보세요.
비교보다 발견에 집중하기
“형은 잘하는데 넌 왜 못하니?”가 아니라
“넌 그림으로 표현하는 걸 참 잘하네!” 같은 피드백을 주세요.
결론
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지능 지도(map of intelligences)를 가지고 있습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그 지도를 좁히거나 단순화하지 않고,
오히려 넓히고 연결해주는 교육을 지향합니다.
다중지능 기반의 교구 설계는 아이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며,
‘나는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긍정적 자아를 형성하도록 돕는 교육적 장치입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