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33 ) 실행기능(working memory, inhibition, shifting)의 통합적 자극 설계
핸더리 팀ㆍ2025.05.14ㆍ4분
어떤 아이는 쉽게 산만해지고, 어떤 아이는 지시를 잘 따르지만 창의적인 전환이 부족합니다.
또 어떤 아이는 문제 해결에 접근할 때 한 가지 방식에만 고집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모습들 속에는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의 차이가 숨어 있습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실행기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교구 활동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실행기능이란 무엇인가요?
실행기능이란 목표 지향적인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고 조직하는 고차원적 뇌 기능입니다.
특히 유아기와 아동기의 실행기능은 전두엽(prefrontal cortex)을 중심으로 급격히 발달하며,
이 시기에의 자극은 이후 자기조절력, 학습력, 사회성,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실행기능은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하위 기능으로 구분됩니다:
작업기억(Working Memory)
정보를 머릿속에 잠시 보관하고, 동시에 그것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
예: 지시사항을 기억하며 그 순서대로 수행하기
억제력(Inhibition)
충동적 반응을 억제하고 주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
예: 하고 싶은 걸 참거나, 규칙을 어기지 않기
전환력(Shifting 또는 Cognitive Flexibility)
생각의 흐름이나 행동 방식을 유연하게 전환하는 능력
예: 실수 후 전략을 바꾸거나, 다른 시각으로 문제에 접근하기

핸더리 활동은 실행기능을 통합적으로 자극합니다
핸더리(HAND + EAR + EYE) 프로그램은
이 세 가지 기능이 서로 따로가 아닌, 자연스럽게 통합되도록 설계된 활동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규칙 기반 교구 활동에서:
작업기억: 교사의 설명을 기억하며, 순서대로 활동하기
억제력: 충동적으로 잘못된 블록을 선택하고 싶은 욕구를 억제하기
전환력: 규칙을 바꿔야 하는 상황에서 전략을 다시 세우고 적용해보기
특히 교구 자체의 구조뿐 아니라,
질문과 피드백, 상황 변형을 통한 유연한 진행이 실행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왜 통합 자극이 중요한가요?
실행기능의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작업기억이 약하면 규칙을 유지하기 어렵고,
억제력이 부족하면 실수로 인해 반복적인 오류가 나타나며,
전환력이 약하면 실패 후 새로운 전략을 떠올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이 기능들은 동시에 자극되고 함께 훈련될 때
아이의 행동조절력, 집중력, 인지적 융통성이 균형 있게 발달합니다.
Tip | 실행기능을 자극하는 가정 실천 활동
멀티스텝 놀이 제공
두세 가지 이상의 단계를 기억하고 수행해야 하는 활동은 작업기억을 자극합니다.
예: “먼저 파란 블록 3개, 그다음 초록 블록 1개 올려보자.”규칙 있는 게임 활용
카드 뒤집기, 순서 바꾸기, 말차례 지키기 등
억제력과 전환력을 동시에 훈련할 수 있습니다.전략 되묻기 질문 사용
“이번엔 왜 이렇게 했어?”, “다르게 해볼 수 있을까?”
→ 전환력 향상과 자기조절력 강화를 동시에 이끌어냅니다.
결론
실행기능은 단순한 ‘똑똑함’의 척도가 아니라,
아이의 자기조절력과 문제해결력을 결정짓는 핵심 역량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교구 활동이 단순한 조작 경험을 넘어서
기억하고, 조절하고, 전환할 수 있는 사고 훈련의 장이 되도록 설계하며,
아이 한 명 한 명이 생각을 조직하고 행동을 계획하는 힘을 자연스럽게 키워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