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4 ) 아이의 잠재력을 키우는 ‘핸더리’ 교육법
핸더리 팀ㆍ2025.05.08ㆍ4분핸더리(HAND + EAR + EYE) 교육법은 아이의 손, 귀, 눈을 동시에 활용하여 종합적인 학습 효과를 노리는 통합형 접근 방식입니다. 이 개념은 아이가 무언가를 배울 때, 한 가지 감각만 사용하는 것보다 여러 감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단순히 책을 읽기만 하는 것과, 책을 읽으면서 그림을 그리고, 소리 내어 말해보며, 또 관련된 놀이를 직접 체험해보는 것은 뇌에 입력되는 자극의 강도와 종류가 전혀 다릅니다.
HAND(손)의 중요성
손을 사용해 직접 만들거나, 쓰거나, 조작하는 활동은 촉각 및 운동 감각을 통해 학습을 체화하게 만듭니다. 아이가 손을 많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뇌의 운동피질과 연결된 영역이 활성화되어 학습 내용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기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곱셈을 배울 때 단순히 문제집에 숫자를 쓰는 것이 아니라, 블록을 이용해 실제로 곱셈 구조를 만들어보고, 그 결과물을 눈으로 확인해보면, 훨씬 더 직관적으로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EAR(귀)의 중요성
귀를 통한 학습은 주로 청각적 자극을 말합니다. 아이가 노래를 듣거나, 직접 소리를 내어 말하거나, 부모님 혹은 교사가 설명하는 내용을 집중해서 듣는 과정에서 뇌의 언어 처리 영역과 청각 정보 처리 영역이 활발하게 작동합니다. 예컨대 외국어 단어를 눈으로만 외우는 것보다, 소리 내어 발음해보고, 관련된 음성 자료를 듣는 활동을 반복하면, 훨씬 더 강력한 기억 효과가 생기는 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EYE(눈)의 중요성
눈은 시각정보 처리의 가장 핵심적인 감각 기관입니다. 시각화는 아이가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고 조직화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숫자나 글자처럼 추상적인 정보를 그림이나 도표 형태로 바꾸어서 보여주면, 아이의 이해 속도가 훨씬 빨라지고 기억에도 오래 남습니다. 핸더리 교육법에서는 손과 귀로 얻은 자극과 더불어, 눈을 통해서도 구체적인 이미지를 관찰하고 변화 과정을 시각적으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배움이 온몸에 ‘각인’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핸더리 교육법의 실제 예시
민성원연구소에서 진행하는 교구재 수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아이들은 먼저 교구재를 직접 손으로 만져봅니다.(HAND) 동시에 교사가 설명하는 규칙을 들으며(EAR), 교구재를 사용하는 모습을 지켜봅니다.(EYE) 마지막에 아이들은 느낀 점을 말해보며 학습 내용을 스스로 재구성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친 아이들은 규칙 이해도와 문제 해결 능력이 확연히 높아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Tips: 가정에서 실천하는 핸더리 학습
요리 시간 활용: 아이에게 레시피를 직접 읽게 하고(귀), 재료를 꺼내고 섞어보게 하며(손), 재료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게 합니다(눈).
체험형 독서: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읽을 때, 책에 나온 장면을 손으로 만들어보거나(손), 음성으로 낭독하고 녹음해보며(귀), 내용을 그림 혹은 만화로 다시 표현해보세요(눈).
프로젝트형 놀이: 아이가 흥미 있는 주제를 정해,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부모님과 대화하며, 눈으로 본 영상을 요약해보게 하는 등 HAND+EAR+EYE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해보세요.
핸더리 교육법은 가정에서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한 간단한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아이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들어보는 경험은 단순히 “한 번 해보고 끝”이 아니라, 아이의 두뇌 발달 전반에 오랜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