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2 ) 작업기억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개입 – 기억 부하 조절의 실제
핸더리 팀ㆍ2025.05.22ㆍ4분
“아이에게 설명해도 금세 잊어버려요.”
“지시한 내용을 다 듣고 나면, 처음 걸 기억하지 못해요.”
이런 현상은 단순한 기억력 문제가 아니라,
바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한계일 수 있습니다.
작업기억은 모든 학습과 일상 활동의 출발점이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조절하는 전략은
아이의 인지 효율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작업기억의 뇌 과학적 특성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기억 부하를 조절하고 반복을 구조화한 교구 활동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작업기억이란 무엇인가요?
작업기억은 짧은 시간 동안 정보를 보존하고 조작하는 능력입니다.
예를 들어, “세모 두 개, 네모 하나, 그다음엔 원 세 개”라는 지시를 받고
그 순서대로 조작하려면,
청각적으로 받은 정보를 기억하고,
그 정보를 순서화하며,
실제 행동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작업기억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구성됩니다:
음운 루프(phonological loop): 소리 기반 정보 기억
시공간 스케치패드(visuo-spatial sketchpad): 시각, 공간 정보 기억
이 둘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역할은 중앙 집행기능(central executive)이 담당합니다. 바로 이 기능이 부족하면, 아이는
정보를 금세 잊거나, 순서를 틀리거나, 집중을 유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왜 작업기억력은 훈련이 필요한가요?
작업기억은 아이의 다음과 같은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문장 이해
수학 문제 풀이 순서 기억
지시 따르기와 행동 계획
읽기 이해와 추론 구성
수업 집중과 과제 지속력
특히 유아기와 아동기에는 작업기억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억 부하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핸더리는 어떻게 기억 부하를 조절하나요?
핸더리(HAND + EAR + EYE) 활동은
아이의 작업기억 수준을 고려하여
기억해야 할 정보의 양, 순서, 변별성, 조작 방식을 점진적으로 설계합니다.
핵심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억 항목의 단계적 증가
처음에는 2~3개 수준의 짧은 정보를 제시하고,
점차 기억해야 할 항목 수를 늘리며 부하를 확장합니다.
중간 반복 삽입
전체 지시 후 한번에 수행하게 하기보다,
중간에 “지금까지 기억한 걸 해볼까?”와 같이 중간 점검을 통해
기억 유지 시간을 길게 설정합니다.
시각 정보 병행 제공
언어 정보만 제시하면 기억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 도식, 색상, 손의 조작을 함께 활용하여
기억 경로를 다중화합니다.
의미 기반 기억 유도
단순 암기보다 “왜 이렇게 했어?”, “이건 무슨 순서였지?”와 같은
의미 연결 질문을 통해 정보 간의 관계성을 강조합니다.
Tip | 가정에서 실천하는 기억 부하 조절 활동
지시 항목은 세 개 이하로 시작하세요
기억력이 약한 아이일수록,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제시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순서 기억 놀이 활용하기
“노랑-파랑-빨강” 블록 순서를 말하고 따라 하기 → “이제는 거꾸로 해볼까?”정보를 ‘말로 다시 정리’하게 하기
“지금 들은 거 다시 말해줄 수 있어?”라고 되묻는 방식은
기억 유지와 조작을 동시에 자극합니다.동작을 함께 연결하세요
기억해야 할 정보를 손으로 표현하거나 몸으로 움직이며 따라 하는 방식은
작업기억과 운동기억의 통합 효과를 높입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