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3 ) 좌뇌와 우뇌 통합적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창의적 문제 해결 훈련

핸더리 팀2025.05.224
Article image

창의력은 단지 ‘기발한 생각’을 떠올리는 능력이 아닙니다.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며,
그 해결 방법을 논리적으로 실행에 옮기는 복합적인 사고 역량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창의력의 본질이 좌뇌와 우뇌의 통합적 작용에 있음을 인지하고,
교구 활동 전반에 걸쳐 뇌의 양쪽 기능을 동시에 자극하는 훈련 구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좌뇌와 우뇌는 어떻게 다르고, 왜 함께 써야 하나요?

뇌는 기능적으로 좌우 반구로 나뉘며,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좌뇌(논리적·분석적 처리)
    · 언어, 수, 순서, 규칙, 계획, 분석 중심
    · 문제를 구조화하고, 규칙을 따르며, 정확하게 실행하는 기능

  • 우뇌(직관적·창의적 처리)
    · 이미지, 공간, 감정, 통찰, 상상 중심
    ·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유연하게 접근하며, 패턴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는 기능

창의적 문제 해결은
이 두 기능이 분리되지 않고 통합적으로 작동할 때 더 큰 효과를 냅니다.
즉, “느낌”만으로 풀지 않고, “논리”만으로도 제한되지 않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핸더리는 양뇌 통합을 어떻게 훈련하나요?

핸더리(HAND + EAR + EYE)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활동 구조를 통해 좌뇌·우뇌 기능을 통합적으로 자극합니다:


  1. 우뇌 자극 – 감각적 탐색과 시각적 조합
    · 색, 모양, 공간 위치, 상상 스토리 등을 활용한 자유 구성 활동
    · 규칙이 없는 구성 과제 → 새로운 발상 유도

  2. 좌뇌 자극 – 규칙 이해와 순서 실행
    · 규칙 설명 듣기, 순서대로 따라하기, 오류 수정 등
    · 문제를 구조화하고 계획을 세우는 사고 훈련

  3. 통합 자극 –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제
    · 제한된 재료로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는 활동
    · 예: “이 블록 5개로 다리를 만들되, 중앙에 공간이 있어야 해요.”
    → 직관적 구성(우뇌) + 논리적 제약 분석(좌뇌) 동시 작용 유도


Article image

뇌 통합 기반 훈련의 교육적 효과

  • 융통성 있는 사고 구조 형성
    하나의 문제를 여러 방식으로 바라보며, ‘정답’보다는 ‘가능성’을 넓힙니다.

  • 논리 속의 창의, 창의 속의 논리 훈련
    창의적 발상이 현실적 실행 가능성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합니다.

  • 실패를 분석하고 전략을 재조정하는 힘
    감각적으로 접근한 해결 방안을 구조화하며 자기 피드백이 강화됩니다.

Tip | 좌뇌·우뇌 통합 훈련을 위한 가정 활동

  • “같은 재료로 다르게 만들기” 놀이
    예: 같은 블록 5개로 배, 다리, 집 등 다양한 구조를 구성해보게 하세요.

  • 패턴을 변형하거나 규칙을 뒤집어보기
    예: 기존 놀이 규칙을 바꿔 새로운 방법으로 적용해보는 시도를 해보세요.
    (우뇌 자극 → 좌뇌 검토 → 양뇌 연결)

  • 만든 결과를 말로 설명하게 하기
    감각적으로 구성한 결과를 언어화하는 과정은 양뇌 통합 훈련의 핵심입니다.

결론

창의적 문제 해결력은 단순한 ‘기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감각과 논리가 만나는 지점에서 탄생하는 통합적 사고 능력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아이의 감각적 상상과 구조적 분석이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좌뇌와 우뇌가 동시에 움직이는 교구 활동과 질문 구조를 통해
진짜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감각만으로도, 논리만으로도 부족한 오늘,
양쪽 뇌를 균형 있게 자극하는 훈련이 아이의 내일을 준비합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