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4 ) 아동기 시간 처리능력(Time Processing Ability)과 일상 계획 수립의 상관관계
핸더리 팀ㆍ2025.05.22ㆍ4분
“시간 개념이 아직 없어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반대로 너무 서두릅니다.”
“스스로 계획을 세워보라고 하면 막막해합니다.”
이런 말은 단순히 시간 감각이 미성숙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아이의 ‘시간 처리능력(Time Processing Ability)’이
아직 발달 중이며, 계획-실행-평가의 순환 구조를 충분히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시간 처리능력의 뇌 인지적 기반을 이해하고,
이와 연결된 자기계획력과 실행력을 강화하는 활동 설계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시간 처리능력이란 무엇인가요?
시간 처리능력은 단순히 시계를 보는 능력이 아니라,
시간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과업을 시간 안에 계획·수행·평가하는 능력입니다.
이 능력은 크게 세 가지 하위 요소로 나뉩니다:
시간 개념(Time Perception)
· “5분이 어느 정도인가?”를 몸으로 느끼는 감각적 시간 인식
· 소뇌와 전두엽이 협응하여 감각-인지 통합을 형성시간 구조화(Time Orientation)
· 하루 흐름, 요일, 순서, 루틴 등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
· ‘이후에 뭐가 올지’를 예상하고 준비하는 능력시간 관리(Time Management)
· 과업을 시간에 맞춰 계획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며,
완료까지의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
이 능력은 아동기 전반에 걸쳐 발달하며,
주의력, 실행기능, 자기조절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시간 처리능력은 왜 중요한가요?
학교생활과 학습 과제 조절
시간 내 과제를 완수하고, 정해진 순서대로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자기조직력과 독립성 강화
스스로 루틴을 구성하고, 다음 행동을 계획할 수 있는 자율성스트레스 조절과 감정 안정
예측 가능한 흐름 속에서 안정감을 유지하고,
급박하거나 지연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서조절력
이처럼 시간 처리능력은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아이의 실행기능과 자율적 삶을 지탱하는 기초 역량입니다.

핸더리는 어떻게 시간 처리능력을 훈련하나요?
핸더리(HAND + EAR + EYE) 활동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시간 감각과 계획력을 통합적으로 자극합니다:
시간 제한 과제 제시
예: “이 블록을 3분 안에 완성해볼까?”
→ 시간 안에 생각하고 움직이며 ‘시간 감각’과 ‘행동 조절’ 동시 자극순서 예측 훈련
활동 전 “먼저 뭐부터 해볼까?”를 질문하고,
활동 후 “우리가 어떤 순서로 했지?”를 정리하면서 시간 구조화를 강화자기 루틴 만들기 활동
정해진 루틴이 아니라, 아이가 활동 순서를 직접 설계해보게 함
→ 계획력과 자기 주도성 강화타이머·시각화 도구 활용
눈에 보이는 시계, 타이머, 활동 순서 카드 등을 통해
시간 흐름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도록 돕는 구조 설계
Tip |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시간 처리력 강화 활동
타이머 활용 놀이
“이 과제를 4분 안에 해볼까?”
타이머를 함께 설정하고 끝났을 때의 기분을 나눠보세요.하루 루틴 함께 만들기
“아침에 일어나서 뭘 먼저 하지?” 아이가 직접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활동 순서를 써보며 하루를 스스로 정리하도록 해보세요.시간 뒤집기 놀이
“이거 끝나고 뭐 했더라?”와 같은 질문으로 시간을 거꾸로 정리해보게 하면
시간 개념과 기억력이 함께 자극됩니다.
결론
시간 처리능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아이의 삶 전반을 설계하고 조절하는 내면의 시계입니다.
이 시계가 잘 작동할수록 아이는 더 안정적으로 계획하고,
더 유연하게 실패를 수용하며,
더 주체적으로 행동을 조절하게 됩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이러한 시간 감각이 감각 자극과 사고 훈련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계획 → 실행 → 피드백이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교육을 실천합니다.
아이의 시간 감각이 자라야
삶을 구성하는 힘도 함께 자랍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