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5 ) 유아기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교구 활동의 성공 경험 설계

핸더리 팀2025.05.224
Article image

“할 수 있어요!”
이 짧은 말에는 아이의 마음속 신념이 담겨 있습니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나는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며,
이는 학습의 동기와 정서, 그리고 성취를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심리적 자산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아이 스스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키우는 것이
모든 인지 훈련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성장 기반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요?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1925–2021)는
자기효능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자신이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

즉, 단순한 자신감이 아니라


  • 과제에 도전하려는 의지

  • 실패 이후 다시 시도하려는 회복력

  • 노력에 대한 믿음과 결과의 연결 감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자기효능감은 유아기 때부터 점진적으로 형성되며,
특히 반복적인 성공 경험, 도전 후 완수의 기억을 통해 강화됩니다.

자기효능감이 유아에게 중요한 이유

  • 학습 동기 강화
    “할 수 있다”는 믿음은 학습 자체를 즐기고 몰입하게 합니다.

  • 도전 회피 감소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이는 어려운 문제 앞에서 피하지 않고 시도합니다.

  • 감정 조절력 향상
    실패해도 감정을 조절하고, 결과를 자기 탓만으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 자기주도성 성장
    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며 성장을 주도하게 됩니다.

이처럼 자기효능감은 단순히 성취감의 부산물이 아니라,
성취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내적 동력입니다.


Article image

핸더리는 어떻게 자기효능감을 설계하나요?

핸더리(HAND + EAR + EYE) 프로그램은
아이에게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성공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내가 해낼 수 있다’는 경험을 구조화합니다.

핵심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과제의 난이도 조절
    처음에는 쉬운 규칙과 구조 → 이후 점진적 난이도 상승
    → 도전과 성공의 균형 유지

  2. 실패 후 수정 기회 제공
    한 번의 실수로 끝나는 활동이 아니라
    “다시 해볼까?”, “다른 방법으로 해볼래?”와 같이
    성공으로 이어지는 경험 루프 설계

  3. 과정을 칭찬하는 피드백
    결과보다 사고 과정, 시도한 태도, 전략의 변화를 인정해주는 언어적 피드백
    → 내면적 동기 유발

  4. 자기 설명 기회 제공
    “이건 어떻게 했어?”, “어떤 생각으로 만들었어?”
    → 스스로의 전략을 언어화하며 자긍심 강화

Tip | 가정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실천 방법

  • 하나의 과제, 여러 번 시도하게 하기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다는 감각은 자기효능감의 핵심입니다.

  • 작은 성공에 의미 부여하기
    “이번엔 마지막까지 해냈구나!”, “어제보다 순서를 잘 기억했네!”처럼
    과정에 의미를 부여해주세요.

  • 스스로의 변화를 인식하게 하기
    “처음보다 지금은 더 잘하네!”, “예전엔 몰랐던 걸 알게 됐구나.”
    → 아이는 ‘나는 성장하는 중이다’라는 확신을 얻게 됩니다.

결론

자기효능감은 ‘성공한 아이’가 아니라,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 아이’를 만드는 마음의 토대입니다.
이 믿음은 반복되는 성공의 기억, 도전의 흔적, 실패 후 다시 일어선 경험 속에서 자라납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교구 활동이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아이 스스로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확신하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시도 → 실패 → 조정 → 성공’의 경험을 설계합니다.

성취는 결과가 아니라,
“내가 해냈다”는 믿음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