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48 ) 추론 능력의 초기 발현으로서의 질문하기 – 유아의 왜(why) 질문에 주목하기

핸더리 팀2025.05.223
Article image

“왜 그래요?”
“왜 이건 이렇게 돼요?”
“그럼 왜 저건 아니에요?”

끝없이 이어지는 유아의 “왜” 질문에
당황하거나 피곤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이 질문은 아이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논리적 사고와 추론 능력을 키워가는 핵심 신호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유아의 ‘왜’ 질문을 단순히 호기심 발현으로 보지 않고,
사고 확장과 개념 연결의 출발점으로 인식하며
교구 활동 안에서 질문을 유도하고 수용하는 구조
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왜 ‘왜’가 중요할까요?

아이의 “왜?” 질문은 다음과 같은 인지 기능의 발달을 의미합니다:


  1. 관계 파악 능력의 성장
    단순히 현상을 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원인과 결과, 조건과 결과 간의 관계를 찾으려는 시도

  2. 개념 일반화와 예외 인식
    “항상 그런가요?”, “그런데 이건 왜 다르죠?”
    규칙의 일반화와 동시에 예외를 구별하는 논리적 사고의 시작

  3. 자기 지식의 한계 인식
    모른다는 사실을 스스로 자각하고,
    새로운 정보로 빈틈을 채우려는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이처럼 “왜?”라는 질문은
추론 능력의 초기 구조가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가장 명확한 언어적 표현입니다.

핸더리는 어떻게 ‘왜’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나요?

핸더리(HAND + EAR + EYE) 활동에서는
아이의 자발적 질문을 수업 흐름의 핵심으로 삼고,
때로는 교사가 먼저 유도하기도 합니다.


  1. 질문을 유도하는 활동 구조
    예: 교구 조작 후 “이건 왜 이렇게 되었을까?”,
    “만약 다른 방법으로 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 자연스럽게 원인-결과 구조에 대한 탐색 유도

  2. 아이의 질문을 존중하는 수업 문화
    “그건 아직 몰라도 돼”가 아닌,
    “정말 좋은 질문이야. 함께 생각해보자.”로 반응하여
    질문이 존중받는 경험 제공

  3. 질문을 확장하는 질문으로 되돌리기
    “넌 왜 그렇게 생각했어?”,
    “다른 방법이 있을까?”처럼
    질문을 사고 확장의 계기로 활용

  4. 질문을 시각화하거나 기록하기
    “우리가 오늘 궁금했던 건 뭐였지?”
    활동 끝에 질문을 정리해보는 구조를 통해
    질문 → 탐색 → 정리의 사고 흐름 강화


Article image

Tip | 가정에서 ‘왜’ 질문을 키우는 실천 방법

  • 모든 질문에 꼭 정답을 주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정답은 이런 거야”보다는, “그건 어떻게 생각해?”,
    “어떤 이유가 있을까?”라는 식의 열린 질문으로 되돌려주세요.

  • 아이의 질문을 함께 적어보세요
    “오늘 궁금했던 것들”을 기록해두면,
    다음 활동이나 책 읽기와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실생활 속 원인 찾기 놀이
    예: “왜 창문을 열면 시원해질까?”,
    “왜 국은 끓으면 넘칠까?”
    생활 속 현상을 함께 관찰하고 추론하는 놀이를 해보세요.

결론

유아의 “왜?” 질문은
그저 끝없는 호기심의 표현이 아니라,
논리적 추론과 인과 이해, 개념 확장이라는 고차 사고의 출발점입니다.

민성원연구소 핸더리 팀은
질문하는 아이가 자라도록,
그리고 그 질문을 스스로 탐색하고 정리해갈 수 있도록
교구 활동을 질문 중심의 탐색 구조로 설계하고 있습니다.

질문은 학습의 시작이며,
아이의 생각은 질문으로 자라납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