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61 ) 배움은 연결될 때 진짜 힘을 갖는다.
핸더리 팀ㆍ2025.06.05ㆍ3분
아이는 어떤 상황에서 배운 개념이나 전략을 새로운 문제에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을 때, 그 지식은 '이해된 것'이 됩니다.
이를 ‘지식 이전(Transfer)’이라 부릅니다. 단순한 반복 학습으로는 결코 얻기 어려운 이 사고의 힘은, 핸더리 프로그램의 핵심 가치 중 하나입니다.
1. 지식 이전이 중요한 이유
학교 시험을 잘 보는 아이가 실생활 문제에 약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배운 내용을 ‘문맥 안’ 에만 두고, ‘문맥 밖’ 으로 옮기는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지식 이전은 단지 다른 과목으로의 연결이 아니라, 경험, 감정, 상황, 맥락과의 연결을 포함합니다.
2. 핸더리식 수업 설계 예시
예를 들어, ‘기하 도형’ 을 배울 때 단순히 도형을 외우지 않습니다.
아이는 직접 다양한 재료로 입체를 만들어보고,
"왜 건축가들은 삼각형 구조를 좋아할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수학과 건축, 안정성 개념을 연결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아이의 머릿속에 '활용되는 배움' 으로 남습니다.
3. 연결 질문의 힘
핸더리에서는 수업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을 사용합니다.
“이 개념을 일상생활에서 본 적 있니?”
“다른 교과에서 비슷한 내용을 본 적 있니?”
“이 원리를 사용하면 뭐가 달라질까?”
이러한 질문은 단순 암기 대신 탐색과 발견의 사고 구조를 만들어 줍니다.
4. 다양한 도구와 매체의 활용
지식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핸더리는 다양한 도구를 활용합니다.
보드게임, 퍼즐, 인터뷰, 시나리오 쓰기, 미디어 영상 등은 아이의 사고를 교과 밖으로 끌어내는 통로입니다.
그 결과 아이는 ‘이것도 수업이야?’라는 감탄과 함께 깊은 학습 몰입을 경험하게 됩니다.
5. 집에서도 연결을 도와주는 말
가정에서 아이와 함께 배운 내용을 이야기할 때, 다음과 같은 말을 시도해 보세요.
“오늘 배운 걸 가지고 이야기 하나 만들어볼까?”
“이건 어디에서 써먹을 수 있을까?”
“그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다르게 쓸 수 있을까?”
이러한 일상 속 질문은 지식 이전의 실마리가 됩니다.
핸더리 프로그램과의 연계 포인트
핸더리 수업은 주제 간 연계, 감각과 개념의 연계, 현실 맥락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아이는 자신이 배운 개념을 말하고, 써보고, 만들어보고, 연결해보며
'배운 것을 자기가 다시 쓸 수 있는 구조'로 체화됩니다.
결론
배움이 연결되지 않으면 지식은 그 자리에 머뭅니다.
하지만 아이가 배운 것을 다른 영역으로 옮기고, 삶과 연결하고, 상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면
그 배움은 이제 ‘나의 것’이 됩니다.
핸더리는 그 확장의 첫 걸음을 함께 설계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