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69 ) 2D에서 3D로 — 블록·건축 놀이의 단계와 역할 나누기

핸더리 팀2025.08.276

퍼즐에서 다진 평면 감각을 입체 블록으로 확장하시면 시공간 지능이 한 단계 도약합니다. 3D 놀이의 핵심은 단순히 “더 높이 쌓기”가 아니라, 안정·대칭·공간 비우기(브리지·아치) 같은 구조 원리를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2D→3D 전환을 위한 단계 로드맵, 역할 분담 수업법(설계자·시공자·검사관), 20분 운영 루틴, 안전·환경 세팅, 관찰 루브릭까지 현장에서 바로 쓰실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3D 놀이의 네 가지 원리(아이에게 이렇게 말해 주세요)

  1. 안정: “아래가 넓으면 흔들리지 않아요.”(받침면·무게중심)

  2. 대칭: “왼쪽과 오른쪽이 비슷하면 넘어지지 않아요.”(대칭축)

  3. 지지: “기둥이 가까우면 다리가 버티기 쉬워요.”(스팬·지지점)

  4. 공간 비우기: “빈 공간을 만들면 다리가 돼요.”(브리지·아치)

교사/보호자 포인트: 원리는 한 번에 하나씩만 강조하시고, 용어는 짧게 반복해서 모델링해 주시면 좋습니다.

2) 단계 로드맵(수행 수준 기준)

초급 – 쌓기·정렬

  • 목표: 수평/수직 감각, 넓은 바닥–좁은 위의 안정.

  • 활동: 동일 블록 8~12개로 계단·탑·담장 만들기.

  • 언어: “아래가 넓게, 위는 가볍게.”

중급 – 공간 비우기

  • 목표: 브리지(두 탑 + 보), 아치(곡선 블록)로 빈 공간 만들기.

  • 활동: 탑 두 개 세우고 위에 보 1개 얹기 → 스팬(기둥 간 거리) 조절 실험.

  • 언어: “기둥가까이/멀리, 가운데에.”

고급 – 지붕·보강(브레이싱)

  • 목표: 대칭·삼각 보강, 간단한 지붕 구조 설계.

  • 활동: 정사각 기단 위 삼각형 보강(∠), 지붕 블록 얹기, 받침대 추가.

  • 언어: “대칭 맞추고, 삼각으로 단단하게.”

3) 역할로 배우는 수업법 — 설계자·시공자·검사관

  • 설계자: 사진/예시를 보고 언어 계획을 말합니다.

    • 기둥은 네 개, 간격은 한 블록, 지붕은 대칭으로.”

  • 시공자: 지시에 따라 조립합니다.

    • 왼쪽 기둥 두 개부터 수직으로.”

  • 검사관: 안정·대칭·수평을 체크합니다.

    • 기둥 간격이 같나요? 수평이 맞나요?”

3~4분마다 역할을 교대하시면 모든 아동이 말하기–만들기–검사하기를 골고루 경험합니다.

4) 20분 운영 루틴(현장 스크립트 포함)

① 웜업 2분

  • “오른손으로 수평을 만들어 볼까요?(손바닥 펴기) 왼손은 기둥!”

② 입력 5분 — 오늘의 원리 1가지

  • 브리지 소개: “기둥 위에 를 올리면 빈 공간이 생겨요.”

  • 시연: 기둥 2개+보 1개, 손가락으로 대칭·가운데 짚어주기.

③ 상호작용 9분 — 단계 활동

  • 활동 A(초급): “아래 넓게 3층 탑 만들기.” → 검사관: “수직인가요?”

  • 활동 B(중급): “기둥 간격가깝게/멀게 바꿔 보며 가 버티는지 보기.”

    • 대화: “먼저 기둥을 세우고, 그다음 보를 가운데. 그래서 안 무너졌어요.”

  • 활동 C(고급): “지붕 얹고 삼각 보강 추가.”

    • 대화: “왜 삼각을 넣었나요?”—“대칭이고 단단해져서요.”

④ 정리 4분 — 리텔링(한 문장)

  • 아래를 넓게 하고 대칭을 맞춰서 가운데에 버티게 했어요.”

5) 집·기관 적용과 안전·환경 세팅

  • 환경: 미끄럼 방지 매트, 낮은 테이블, 동일 블록 20~40개.

  • 안전: 어깨 높이 이상 금지, 큰 블록은 두 손 사용, 통로 확보.

  • 가정 변형: 책 2권을 기둥, 얇은 도마를 보로 사용(생활 재료 건축).

  • 기관 팁: 3인 1조, 역할카드(설계/시공/검사)와 체크리스트 비치.

6) 실험으로 배우는 구조 원리(소도구 활용)

  • 하중 테스트: 브리지 위 병뚜껑을 한 개씩 올려 최대 하중 찾기.

    • 말하기: “기둥을 가까이 하니 더 많이 버텼어요.”

  • 진동 테스트: 트레이를 살짝 흔들어 안정성 비교(삼각 보강 전/후).

    • 말하기: “삼각을 넣으니 안정해졌어요.”

7) 흔한 어려움과 해결

  • 높이 경쟁으로 흐름 → “가장 튼튼한 다리 대회”로 목표 전환.

  • 한쪽으로 기울어짐 → 받침면 확대·대칭 점검 체크리스트 사용.

  • 말보다 손이 앞섬 → “지금 계획을 한 문장으로 말하고 시작해볼까요?”

8) 관찰·기록(세션 직후 1분, 0–3점 루브릭)

  1. 안정 설계: 0 무 / 1 받침 언급 / 2 받침+대칭 / 3 보강(삼각)까지 제시

  2. 대칭·수평 확인: 0 무 / 1 시도 / 2 용어 사용 / 3 근거 설명

  3. 공간 비우기(브리지·아치): 0 무 / 1 시도 / 2 완성 / 3 하중 테스트 보고

  4. 역할 언어: 0 무 / 1 단편 / 2 절차 언어(먼저/그다음) / 3 인과(그래서/때문에)

  5. 리텔링: 0 단어 / 1 단편 / 2 순서 / 3 인과 포함 문장

결론

3D 블록 놀이는 높이 경쟁이 아니라 원리·역할·언어로 이루어진 입체 사고 훈련입니다. 안정–대칭–지지–공간 비우기 중 한 가지 원리를 고르고, 설계자·시공자·검사관 역할을 돌리며 한 문장 리텔링으로 마무리해 보십시오. 퍼즐에서 익힌 2D 감각이 입체 계획 언어로 확장되고, 아이는 “아래를 넓히고, 기둥 간격을 좁혀서, 보를 가운데에 올렸어요. 그래서 더 단단해졌어요.”라고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 5편에서는 이러한 활동을 관찰·기록·피드백으로 연결하여 성장을 눈에 보이게 만드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핸더리 팀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