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더리 칼럼 189 ) 함께 생각하는 힘 — 협력 추론 놀이로 확장되는 사고의 폭
핸더리 팀ㆍ2025.10.13ㆍ4분아이의 유동추론은 혼자 생각할 때보다 함께 생각할 때 더 깊어집니다. 친구와의 협력 속에서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조정하고, 다른 사람의 논리를 이해하며, 더 넓은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아 교구재를 활용해 아이들이 협력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돕는 ‘협력 추론 놀이(cooperative reasoning)’의 의미와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협력 추론의 의미
협력 추론은 단순한 ‘함께 놀이하기’가 아니라, 사고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입니다. 아이는 친구의 생각을 듣고 자신의 의견을 조정하면서 자연스럽게 논리적 근거 제시, 설득, 타협을 경험합니다. 이는 유동추론을 ‘사회적 사고’로 확장시키는 중요한 과정이며, 동시에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께 자극합니다.
2. 교구재를 활용한 협력 추론 활동
공동 규칙 만들기
여러 명이 함께 패턴을 만들어 가며, “이번엔 어떤 규칙으로 할까?”를 의논합니다. 각자의 의견을 듣고 하나의 규칙으로 합의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와 협상 능력이 동시에 길러집니다.협동 퍼즐 맞추기
퍼즐 조각을 나누어 갖고 서로의 조각을 설명하며 완성합니다. “이건 네 조각 옆에 맞는 것 같아.”와 같은 말은 추론적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는 훈련이 됩니다.추리 역할 놀이
예를 들어 “사라진 색깔 블록을 찾아라!” 같은 미션을 설정하고, 각자 단서를 공유하며 결론을 도출하게 합니다. 아이는 서로의 정보를 조합하며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익힙니다.문제 해결 릴레이
한 아이가 규칙의 일부를 제시하고, 다음 아이가 그 규칙을 이어받아 새로운 단서를 추가합니다. 이 활동은 공유된 사고 흐름을 유지하며 협력적으로 문제를 확장하는 경험이 됩니다.
3. 교사의 역할 — 사고를 연결해주는 중재자
협력 추론이 단순한 대화로 끝나지 않으려면 교사는 아이들의 생각을 이어주는 ‘사고의 다리’ 역할을 해야 합니다.
“지민이는 이렇게 생각했는데, 수아의 생각은 어떤가요?”
“두 사람의 의견이 다를 때, 어떤 방법으로 확인해 볼 수 있을까요?”
이와 같은 질문은 아이들 사이에 논리적 대화를 유도하며, 서로의 생각을 비교·통합·재구성하는 힘을 키워줍니다.
4. 협력 추론에서 얻는 성장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를 듣는 과정에서 공감과 분석 능력이 함께 자랍니다.
논리적 설득력: 자신의 생각을 이유와 근거로 설명하려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
집단적 문제 해결력: 협력 과정 속에서 아이는 한 가지 답보다 다양한 해결 가능성을 인식하게 됩니다.
결론
협력 추론 놀이는 아이가 ‘나의 생각’에서 ‘우리의 생각’으로 사고의 폭을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교구재는 그 협력의 장을 열어주는 매개체로, 아이들이 함께 조합하고 토론하며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끕니다. 교사의 질문과 중재가 더해지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사유의 언어와 사회적 논리를 동시에 배우게 됩니다.

핸더리 팀지능개발의 선두주자 민성원연구소의 에이스인 컨설턴트가 모였다. 핸더리 팀은 유아의 어떤 지능도 개발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뀌지 못할 지능은 없다고 믿고 아이들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핸더리 프로그램을 만든 팀.